nodejs 2

NodeJS의 내장객체, 내장모듈, 외장모듈

NodeJS의 내장객체 지난 시간에 NodeJS에서의 this와 브라우저에서의 this를 확인해보는데 NodeJS에서는 내장객체 `global`을 사용하고, 브라우저에서는 window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console.log, setTimeout, setInterval도 결국 global객체 안에 속해 있다. REPL모드로 진입하여 정말 global안에 conosle.log가 있는 지 global에는 어떠한 객체들이 있는 지 살펴보자 global객체 안에 setTimeout과 setInterval이 속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global.console도 확인해보도록 하자 console객체 안에 자주쓰는 log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log는 함수라고 나와있다 ..

NodeJS 2023.05.28

NodeJS 설치, NVM, REPL, Thread, 내장객체Require

NodeJS 내 컴퓨터 조작이 가능하다. NodeJ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치를 해주어야한다. NodeJS를 Linux환경에서 설치해주어야한다. NodeJS의 장점 싱글스레드이므로 비동기적으로 처리를 해놓아서 개발 속도가 빠르다. NVM(NodejsVersionManager) Node의 버전을 쉽게 관리해주는 도구이다. Node는 매년 2개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는데 사용하다보면 상위버전이 필요할 때가 있고 하위버전을 사용해야 할 때 버전 관리를 쉽게 해주는 도구이다. 터미널에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를 진행해준다.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5.1/install.sh | bash source 터미널을 재실행하지 않고..

NodeJS 2023.05.28